최근 휴가기간이나 여행을 다니면서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 촬영을 할 때 드론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근데 드론 비행을 하려면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동영상, 사진 등을 촬영하려고 드론 구매를
생각 중이신 분들이라면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드론자격증 4종 취득방법, 기출문제, 종류 등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드론자격증이란
우리가 흔히 부르는 드론자격증은 정식 명칭이
아닙니다. 드론 자격증의 정식 명칭은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증명'입니다.
초경량비행장치는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에 해당하는
자격증 항목이기도 합니다.
자격증명 업무 범위는 (항공안전법 제125조)
초경량 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비행 또는
조종하는 행위입니다.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의
기체 종류도 살펴보겠습니다.
동력비행장치, 회전익비행 장치, 유인자유기구,
동력패러글라이더,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낙하산류, 무인비행기, 무인비행선, 무인멀티곱터,
무인헬리콥터가 있습니다.
드론자격증의 종류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의 자격증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국가자격기준)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자격증 종류
- 동력비행장치
- 회전익비행 장치
- 유인자유기구(자가용/사업용)
- 동력패러글라이더
- 행글라이더
- 패러글라이더
- 낙하산류
- 무인비행선
- 무인비행기
- 무인멀티곱터
- 무인헬리콥터
우리가 말하는 드론자격증은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 무인 비행기
- 무인 헬리콥터
- 무인 멀티곱터
- 무인 비행선
4가지 중 21년 03월 01일부터 변경된 사항이
있는데 무인비행기, 무인멀티곱터, 무인헬리콥터는
각각 1~4종으로 분류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드론자격증 4종이라는 말이 있는 것입니다.
하단에 자세하게 작성해 놓았습니다.
이 4가지 항목 중 우리가 확인해야 할 항목은
바로 무인 멀티곱터입니다.
※ 드론이 250g 이하인 경우 비행 시
별도의 자격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50g을 초과하면 자격증명 필수
드론자격증 응시자격 및 시험일정
드론자격증 응시자격을 살펴보겠습니다.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응시자격입니다.
보통 많이 취득하시는 무인비행기,
무인 헬리콥터, 무인 멀티곱터만 확인하겠습니다.
응시자격
자격 | 연령 | 비행경력만 있는 경우 | 항공종사자 자격 보유 | 전문교육기관이수 |
공통사항 | - 비행경력은 안정성 인증검사, 비행승인 등의 적법한 기준 및 절차를 따른 경력을 말함 - 보통2종 이상 운전면허 신체검사 증명서 또는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해야 함 |
|||
무인비행기 | 14세 이상 | 해당종류 총 비행경력 20시간 | - 해당 없음 | - 전문교육기관 해당 과정 이수 |
무인헬리곱터 | 14세 이상 | 해당종류 총 비행경력 20시간 | - 해당 없음 | - 전문교육기관 해당 과정 이수 |
무인멀티곱터 | 14세 이상 | 해당종류 총 비행경력 20시간 | - 해당 없음 | - 전문교육기관 해당 과정 이수 |
무인비행기, 무인헬리콥터, 무인멀티곱터 조종사
응시자격
자격 | 연령 | 비행경력 또는 관련 자격 보유자 | 전문교육기관 이수 | ||
공통사항 | - 비행경력은 안정성 인증검사, 비행승인 등의 적법한 기준 및 절차를 따른 경력을 말함 - 보통2종 이상 운전면허 신체검사 증명서 또는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해야 함 |
||||
무인 비행기 |
만 14세 이상 |
1종 | 해당종류 비행시간 20시간 이상 (2종 무인비행기 자격소지자 15시간 이상, 3종 무인비행기 자격소지자 는 17시간 이상) *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 자체중량 150kg 이하 무인비행기 비행경력 |
- 전문교육기관 해당 과정 이수 |
|
2종 | 1종 또는 2종 무인비행기 비행시간 10시간 이상 (3종 무인비행기 자격소지자 7시간 이상) * 최대이륙중량 7kg 초과 ~ 최대이륙중량 25kg 이하 무인비행기 비행경력 |
||||
3종 | 1종, 2종, 3종 무인비행기 중 어느 하나의 비행시간 6시간 이상 * 최대이륙중량 2kg 초과 ~ 최대이륙중량 7kg 이하 무인비행기 비행경력 |
||||
4종 | 해당 종류 온라인 교육과정 이수로 대체 * 최대이륙중량 2kg 이하의 무인비행기에 해당 (만 10세 이상) |
해당 없음 | |||
무인 헬리곱터 |
1종 | 해당종류 비행시간 20시간 이상 (2종 무인헬리콥터 자격소지자 15시간 이상, 3종 무인헬리콥터 자격소지자는 17시간 이상, 1종 무인멀티콥터 자격소지자 10시간 이 상) *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 자체중량 150kg 이하 무인헬리콥터 비행경력 |
- 전문교육기관 해당 과정 이수 |
||
2종 | 1종 또는 2종 무인헬리콥터 비행시간 10시간 이상 (3종 무인헬리콥터 자격소지자 7시간 이상, 2종 무인멀티콥터 자격 소지자 5시간 이상) * 최대이륙중량 7kg 초과 ~ 최대이륙중량 25kg 이하 무인헬리콥터 비행경력 |
||||
3종 | 1종,2종, 3종 무인헬리콥터 중 어느 하나의 비행시간 6시간 이상 (3종 무인멀티콥터 자격소지자 3시간 이상) * 최대이륙중량 2kg 초과 ~ 최대이륙중량 7kg 이하 무인헬리콥터 비행경력 |
||||
4종 | 해당 종류 온라인 교육과정 이수로 대체 * 최대이륙중량 2kg 이하의 무인헬리콥터에 해당 (만 10세 이상) |
해당 없음 | |||
무인 멀티곱터 |
1종 | 해당종류 비행시간 20시간 이상 (2종 무인멀티콥터 자격소지자 15시간 이상, 3종 무인멀티콥터 자격소지자는 17시간 이상, 1종 무인헬리콥터 자격소지자 10시간 이 상) *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 자체중량 150kg 이하 무인멀티콥터 비행경력 |
- 전문교육기관 해당 과정 이수 |
||
2종 | 1종 또는 2종 무인멀티콥터 비행시간 10시간 이상 (3종 무인멀티콥터 자격소지자 7시간 이상, 2종 무인헬리콥터 자격 소지자 5시간 이상) * 최대이륙중량 7kg 초과 ~ 최대이륙중량 25kg 이하 무인멀티콥터 비행경력 |
||||
3종 | 1종,2종, 3종 무인멀티콥터 중 어느 하나의 비행시간 6시간 이상 (3종 무인헬리콥터 자격소지자 3시간 이상) * 최대이륙중량 2kg 초과 ~ 최대이륙중량 7kg 이하 무인멀티콥터 비행경력 |
||||
4종 | 해당 종류 온라인 교육과정 이수로 대체 *최대이륙중량 2kg 이하의 무인멀티콥터에 해당 (만 10세 이상) |
해당 없음 |
각 자격증 4종의 경우
해당 종류 온라인 교육과정 이수를 하게 되면
취득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교육은 항공법규(3시간),
비행이론 및 운용 (2시간), 항공기상(1시간)으로
총 6시간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기시험(학과시험)의 경우에는
지역별 CBT 학과 시험 일정 확인하면 되고
실기시험의 경우 무인멀티곱터/헬리콥터 실기시험만
실시하고 있는 시험장이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학과 시험 일정
구분 | 시험일자 (접수시작일 : 24.01.04일 20:00 ~ ) | |||
항공 전용 학과 시험장 (서울, 부산, 광주, 대전) |
지역 CBT 시험장 | |||
화성, 김천 (4월 부터 시행 예정) |
부산, 광주, 대전, 춘천, 대구, 전주 |
제주 | ||
1월 | 9, 16, 23, 27(토), 30 | 8, 10, 15, 17, 22, 24, 29, 31 |
10, 24 | 10 |
2월 | 6, 13, 20, 24(토), 27 | 5, 7, 14, 19, 21, 26, 28 | 1, 14 | 1 |
3월 | 5, 12, 19, 23(토), 26 | 4, 6, 11, 13, 18, 20, 25, 27 |
6, 20 | 6 |
4월 | 2, 16, 23, 27(토) | 1, 3, 8, 15, 17, 22, 24 | 3, 17 | 3 |
5월 | 7, 14, 21 ,25(토) | 8, 13, 20, 22, 27, 29 | 8, 29 | 8 |
6월 | 4, 11, 18, 22(토), 28 | 3, 5, 10, 12, 17, 19, 24, 26 |
5, 19 | 5 |
7월 | 2, 9 ,16 ,23 ,27(토) | 3, 8, 10, 15, 17, 22, 24 | 3, 17 | 3 |
8월 | 6, 13 ,20 ,24(토), 27 | 5, 7, 12, 14, 19, 21, 26, 28 |
7, 21 | 7 |
9월 | 3, 10 ,21(토), 24 | 2, 4, 9, 11, 23, 25 | 4, 25 | 4 |
10월 | 8, 15, 22, 26(토), 29 | 2, 7, 14, 16, 21, 23, 28, 30 |
2, 30 | 2 |
11월 | 5, 12 ,19 ,23(토) ,26 | 4, 6, 11, 13, 18, 20, 25, 27 |
6, 20 | 6 |
12월 | 3, 10 ,17 ,21(토) | 2, 4, 9, 11, 16, 18 | 4, 18 | 4 |
실기시험 일정
초경량비행장치 상설 16개소 실기시험장 시험일정
구분 | 시험일자 (시험접수 : 24.01.04일 20:00 ~ 시험 전주 월요일 23:59분) | |
실기시험장 (무인멀티곱터/무인헬리곱터 실기시험만 실시 가능) - 화성, 영월, 춘천, 청양, 부여, 영천, 문경, 울진, 진주, 김해, 사천, 전주, 광주, 진안, 고양, 김천(3월부터 시행 예정, 2월말 접수시작예정) *진안,부여,진주,울진의 경우 응시수요가 적어 주1회만 실시 * 제반 환경에 따라 일정 및 장소는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
1월 | 23(화), 24(수), 30(화), 31(수) | 4회 |
2월 | 6(화), 7(수), 20(화), 21(수), 27(화), 28(수) |
6회 |
3월 | 5(화), 6(수), 12(화), 13(수), 19(화), 20(수), 26(화), 27(수) | 8회 |
4월 | 2(화), 3(수), 16(화), 17(수), 23(화), 24(수) | 6회 |
5월 | 7(화), 8(수), 21(화), 22(수), 28(화), 29(수) | 6회 |
6월 | 11(화), 12(수), 18(화), 19(수), 25(화), 26(수) | 6회 |
7월 | 16(화), 17(수), 23(화), 24(수) | 4회 |
8월 | 13(화), 14(수), 20(화), 21(수), 27(화), 28(수) | 6회 |
9월 | 3(화), 4(수), 10(화), 11(수) | 4회 |
10월 | 1(화), 2(수), 15(화), 16(수), 22(화), 23(수), 29(화), 30(수) | 8회 |
11월 | 5(화), 6(수), 12(화), 13(수), 19(화), 20(수) | 6회 |
12월 | 3(화), 4(수), 10(화), 11(수) | 4회 |
응시자격 제출서류
-(필수) 비행경력증명서 1부
-(필수) 유효한 보통 2종 이상 운전면허 사본 1부
-(추가) 전문교육기관 이수증명서 1부 (이수자에 한함)
학과시험 응시수수료
-응시 수수료 : 48,400(부가세 포함)
드론자격증 취득방법
순서에 따라서 진행을 하셔야
드론자격증 응시 및 취득이 가능합니다.
왜 안되냐고 민원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천천히 따라 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큰 틀을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1단계 : 응시자격 신청 → 응시자격 심사 → 응시자격부여
2단계 : 학과시험 접수 → 학과시험응시 → 합격자발표
3단계 : 학과시험 합격 → 실기시험 접수 → 실기시험 응시 →
실기합격자 발표 → 자격발급신청 → 자격발급 수령
우선 드론자격증 취득방법 1단계는
응시자격이 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응시자격 신청에서 "부여"를 받아야 원서접수가 가능합니다.
그 후 2단계, 3단계에 맞춰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응시자격 신청을 먼저 해야 합니다.
학과시험 합격 판정의 경우
70% 이상 맞게 되면 합격처리가 됩니다.
드론자격증 기출문제
드론자격증 기출문제 확인 전
시험과목, 범위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학과시험 시험과목 및 범위
자격종류 | 과 목 | 범 위 |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통합 1과목 40문제) |
항공법규 | 해당 업무에 필요한 항공법규 |
항공기상 | 가. 항공기상의 기초지식 나. 항공기상 통보와 일기도의 해독 등 (무인비행장치는 제외) 다. 항공에 활용되는 일반기상의 이해 등 (무인비행장치에 한함) |
|
비행이론 및 운용 | 가. 해당 비행장치의 비행 기초원리 나. 해당 비행장치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지식 등 다. 해당 비행장치 지상활주(지상활동) 등 라. 해당 비행장치 이․ 착륙 마. 해당 비행장치 공중조작 등 바. 해당 비행장치 비상절차 등 사. 해당 비행장치 안전관리에 관한 지식 등 |
드론자격증 실기시험
실기시험을 위해서는 1~4종에 맞는 기체를
직접 준비해야 합니다.
1종 :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자체중량 150kg 이하
2종 : 최대이륙중량 7kg 초과 자체중량 125kg 이하
3종 : 최대이륙중량 2kg 초과 자체중량 7kg 이하
4종 : 최대이륙중량 250g 초과 자체중량 2kg 이하
구술시험, 실기시험 (비행 전 절차),
실기시험 (이륙과 상승), 실기시험 (공중조작),
실기시험 (착륙조작), 실기시험 (비행 후 점검),
실기시험 (종합능력) 등을 평가하게 됩니다.
각 세부항목은 사진 첨부 드리겠습니다.
드론자격증 기출문제의 경우 TS국가자격시험에서
오피셜 하게 공개된 문제는 없지만
문제 출제 방법의 경우 문제은행방식으로
문제은행방식은 다량의 문항 분석 카드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 보관해 놓은 뒤
무작위로 문제를 출제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나왔던 문제들이 계속 나오는 방식
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회원가입은 간편하게 가능하니
회원가입 후 진행하시면 좋겠습니다.
드론자격증 교육기관
초경량비행장치(드론) 자격증의 교육기관은
19개 지역, 전국 233개의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교육기관도 드론교육기관으로 정확하게 인정을 받은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검색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항공교육훈련포털에 접속하여
상단 카테고리에 전문교육기관 안내 클릭 후
지역선택하여 검색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교육비용은 기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생각보다 비싸기 때문에 국비지원이나 할인여부
잘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드론자격증 난이도 및 쓸모
사실 드론자격증 난이도는
크게 어렵지 않다는 이야기가 지배적입니다.
나이가 어리면 그만큼 쉽게 다가갈 수 있고
나이가 조금 있다면 익히는데 시간이 조금 걸린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생각보다 쉽다고 생각하고 시험을 보면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고
어렵다고 생각하고 시험을 보면 쉽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은 자격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일 중요한 드론자격증 실기의 경우
파지법 연습이 중요하며, 급발진이나 경로이탈의
문제를 잡을 수 있어 합격률을 높일 수 있고
1종의 경우 원주 비행, 정상접근을 제외한
40m 왕복, 삼각 비행, 비상 착률, 측풍 접근은
파지법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사실 드론자격증 하나 있다고 하여 취업이 100% 된다는 것은
거짓말입니다. 관련 업계 정도에서는 생각보다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큰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쓸모가 있다고 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앞으로의 드론자격증 쓸모를 묻는다면
분명히 비전은 있을 것이다라고 생각이 됩니다.
드론자격증에 대해서 정말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마지막 꿀팁으로는 구술시험은 운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달달 외워서 가는 것을 추천드리고
여름보다는 봄이나 가을에 수업을 받는 것,
휴식공간, 수강인원(적당한 것이 좋음), 수업 할인 여부 등을
잘 알아보시고 학원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려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