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보건계열

작업치료사 되는법, 연봉 등 2023년 최신판

by 좝형 2023. 2. 9.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업치료사 되는법, 연봉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합니다.

물리치료사와 같이 작업치료사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렇지만 물리치료사와 엄연히 다른 분야에서 다른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자세하게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저도 이번 글을 쓴 계기를 통하여 작업치료사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는데 작업치료사 되는법부터 시작하여 연봉, 취업, 진로, 자격증 등

자세하게 이야기를 다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작업치료사 되는 방법

작업치료사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신체적, 정신적, 발달과정에 어떠한 이유로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의미가 있는 활동(작업)을 통해 최대한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능동적으로 사회생활에 

참여함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치료, 교육, 중재하는 보건의료의 한 분야입니다.

또한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는 보건 전문 분야이며 일차적으로는 그 사람의 기능을 증진 시키거나

지역사회의 인식과 제도를 개선하거나 작업 참여를 돕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직업입니다.

 

정말 쉽게 이야기해서 물리치료사들은 물리적으로 치료를 하는 전문가

(신체적, 신경학적 재활에중점)

작업치료사는 작업을 통해 치료하는 전문가입니다.

(일상생활 활동 훈련, 감각훈련, 소근육 훈련, 인지재활, 삼킴치료, 시지각치치료 등)

 

젓가락을 예로 들면 물리치료사는 젓가락을 들 정도로 팔의 움직임 범위를 향상시킨다면

작업치료사는 젓가락을 쥐어 밥 먹는법을 알려주는 것.

 

"치료사"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는 직종은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가 전부입니다.

민간자격 (웃음치료, 미술치료)는 제외된다.

 

작업치료사 되는방법1

작업치료사 되는법

3~4년제 대학의 작업치료학과를 졸업해야합니다.

3년제 (작업치료과), 4년제 (작업치료학과)로 분류되며 마지막 학년 연말에

국가고시를 봐야하며 합격해서 면허증을 취득해야 작업치료사가 될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작업치료사 국가고시 합격률은 평균 90%정도입니다.

 

작업치료사 대학교 정면

작업치료사 대학, 대학교

경기 : 경복대, 동남보건대, 서영대(파주), 여주대, 두원공과대

강원 : 강원대(도계), 경동대, 연세대(미래), 상지대

충북 : 극동대, 유원대, 청주대, 세명대, 중원대, 충북보건과학대

대전 : 건양대, 대전보건대, 우송대

충남 : 순천향대, 백석대, 한서대, 신성대, 혜전대, 충남도립대

전북 : 호원대, 전준대, 원광대, 전주기전대, 우석대

광주 : 광주대, 호남대, 조선대, 동강대, 광주여자대

전남 : 동아보건대, 전남과학대, 동신대, 순천제일대

대구 : 대구보건대

경북 : 경운대, 김천대, 대구대, 가톨릭상지대, 경북보건대, 경북전문대, 구미대, 영남외국어대, 포항대, 호산대

부산 : 동서대, 고신대, 경남정보대, 동주대

울산 : 춘해보건대

경남 : 인제대, 경남대, 마산대, 가야대

제주 : 제주한라대

* 혹시 없어졌을 수도 있으니 다시 체크 필요함

 

작업치료사 전망과 취업

작업치료사의 전망과 취업

인구고령화에 따른 치매에 대한 국가의 관심이 많이 커지면서 인지재활등의 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에

취업에 있어서 전망은 매우 밝은 편이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취업분야가 굉장히 넓은 편이고 분야도 정말 다양합니다.

작업치료사 취업으로는 90%이상이 병원에 취업하게 되며

작업치료의 분야중

성인의 경우 재활병원, 종합병원 , 대학병원, 치매안심센터, 주간보호센터, 복지관, 보건소,

운전면허시험장, 특수교육지원청, 다양한 공기관, 공단 등

 

소아의 경우 어린이집, 센터, 복지관, 병원 등으로 나뉩니다.

*의무병 지원 가능 (남학생 참고)

 

작업치료사는 2022년 01월기준 면허가 22,197명에 작업치료사가 배출됬고

매년 약 1900명 정도에 작업치료사가 배출됬다.

2023년 01월 기준으로는 약 2만 4천명정도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리치료사의 면허번호는 약 85,000번에 면허번호 작업치료사와 4배정도 차이

작업치료사라는 직업은 굉장히 특수한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2012년에 미국 직업정보 사이트인 "커리어캐스트닷컴"에서 미국 내 대표 200개 직업 순위를 매긴적이 있는데

연봉뿐 아니라 전망, 환경, 스트레스 등의 부문에 걸친 평가에서 7위를 했을 정도로 미국에서는 고소득에 

안정적인 직업으로 알려진바 있다.

미국에서 작업치료사 되는법은 국내에서는 석사 이상의 자격, 어학능력이 네이티브 수준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작업치료사의 연봉에 대해서 기재하였습니다.

작업치료사 연봉

*4대보험 제외가 실수령액

 

하위 : 2900만원

실수령액 25,842,440원, 월 환산금액 2,153,537원

 

중위 : 3,367만원

실수령액 : 29,642,440원, 월 환산금액 : 2,470,203원

 

상위 : 4,172만원

실수령액 : 36,017,600원, 월 환산금액 : 3,001,467원

 

채용 플랫폼 기준 2019년 기준 작업치료사 평균 연봉 

30,860,000원

실수령액 : 27,354,440원, 월 환산금액 : 2,279,537원

 

작업치료사의 분야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작업치료사의 분야

인지치료, 연하치료, 감각통합치료, 일상생활활동치료 또는 질환별로 봐도 되며

SCI환자 작업치료 등 자기가 잘하고 관심있는 분야를 꼭 선택하고 그 분야에서는 전문가가 되어야한다.

목표를 선택해서 일을하다보면 정체성이 흔들리는 시기가 올때에도 이겨나갈수 있다.

 

작업치료사의 현실과 장단점에 대해서 기재해보았습니다.

작업치료사 현실

한국이라는 사회가 진정한 작업치료를 받아들이기에는 아직 어렵다고 합니다.

의료기관에 수가 중심적인 치료시간들을 시행하기 너무 어려운 환경이며 물리치료와 비교를 당한다.

물리치료를 더 선호하는 사회입니다.

또한 작업치료보다는 매뉴얼과 신체치료를 집중적으로 하게되다보니 작업치료사에 대한 정체성이 온다.

배우는 분야는 광범위한데 

아동, 성인, 노인이라는 작업치료 분야부터 아동은 감각통합치료라는 부분까지,

신경계환자들에 재활과 일상생활, 삼킴과 관련된 치료까지 인지재활, 감각치료까지 작업치료사가 하게됩니다.

더 나아가 정신사회 작업치료까지 해서 정신보건 전문요원까지 해당된다.

업계에서는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오른팔은 물리치료사, 왼팔은 작업치료사라는 말이 있다ㅋㅋ

 

 

작업치료사 장단점

작업치료사 장점

취업의 길이 엄청 넓다

사람만나는것을 좋아하면 매우 재밌게 일을할수 있고 지루할 틈이 없다.

환자를 많이 만나다 보니 재미와 흥미를 느낄수 있고 도움을 줄수 있기 때문에 보람차다.

정말 매력있고 재미있는 직업

근무 시간 순-삭

 

작업치료사 단점

일하는 것에 비해 입지가 좋지 못하며 업무강도에 비해 연봉이 낮다.

초봉 재활, 요양병원 신입기준 2300~2600사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신입교육은 병원마다 다르고 받는 월급에 비해 외부 교육비가 비싼편

학교에서 배운것과 임상의 환경이 너무다 다르다.

 

학생들에게 해주고싶은말

학교다닐때 1학년부터 학점, 토익 챙겨서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 취업을 추천한다.

학회나 동아리 가입하기 (인맥쌓기)

학교에서 배운 OT, 병원에서의 OT가 매우 다를수 있다.

다른학과에(간호학과, 물리치료 등)에 떨어져서 성적을 맞춰서 작업치료학과를 선택했다면 차라리 재수해서

다시 그 과에 지원해라.. (학생피셜이며 정답이라고 할수는 없다.)

취미생활과 스트레스를 풀수있어야된다

물리치료사들이 배우지 않는 것인 인지와 감각, 정신, 연하치료

매뉴얼치료로 물리치료사를 이기려고 하면안된다.

작업치료사가 잘 할수 있는 영역을 키워나가야 한다.

 

그래서 아직도 생소한 직업으로 보는 분들도 많은데 장애라는 것이 있어서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고

사회에서 소외될 때 작업치료사를 만나게 된다.

그만큼 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직업임은 틀림이 없다. 

궁금하신 부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확인도와드리겠습니다.

 

끝--

작업치료사 되는법에 대해서 글 마쳤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