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주 차 자격증 트렌드로 재경관리사가 1위에 올랐습니다.
재경관리사는 남성분들 보다는 여성분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자격증 중에 하나인데
재경관리사 시험일정, 합격률, 취업 등 관련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재경관리사란?
일반인들이 재경관리사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알 수 없는 분야의 자격증이라고 생각됩니다.
재경관리사는 삼일회계법인(PricewaterhouseCoopers LCC, PWC)이
주관하는 국가공인 회계관리 시험입니다. (공인 민간자격)
회계관리 1급, 2급의 경우 재경관리사의
하위 등급이며, 회계, 세무, 원가, 경영관리 등
재경 분야에서 실무 전문가임을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실제로 재경관리사의 경우 기업의 회계 업무인
장부관리, 세무, 원가 및 경영 관리를 하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재경관리사 응시자격
재경관리사 자격증의 경우
나이, 학력, 경력, 지역 등의 제한 없이 응시가 가능합니다.
재경관리사 시험일정
재경관리사 시험은 1년에 총 8회 진행됩니다.
매년 1월, 3월, 5월, 6월, 7월, 9월, 11월, 12월에
시험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재경관리사 원서 접수기간에는 회계관리 1급, 2급도
시험접수가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회차 | 원서접수기간 | 시험일 | 합격발표일 | ||
2024년 | 1 | 재경관리사 106회 | 2024. 01. 04 ~ 01. 11 | 01. 27 (토) | 02. 02 (금) |
2 | 재경관리사 107회 | 2024. 03. 07 ~ 03. 14 | 03. 30 (토) | 04. 05 (금) | |
3 | 재경관리사 108회 | 2024. 04. 25 ~ 05. 02 | 05. 18 (토) | 05. 24 (금) | |
4 | 재경관리사 109회 | 2024. 05. 30 ~ 06. 04 | 06. 15 (토) | 06. 21 (금) | |
5 | 재경관리사 110회 | 2024. 07. 04 ~ 07. 11 | 07. 27 (토) | 08. 02 (금) | |
6 | 재경관리사 111회 | 2024. 09. 05 ~ 09. 12 | 09. 28 (토) | 10. 04 (금) | |
7 | 재경관리사 112회 | 2024. 10. 24 ~ 10. 31 | 11. 16 (토) | 11. 22 (금) | |
8 | 재경관리사 113회 | 2024. 12. 05 ~ 12. 10 | 12. 21 (토) | 12. 27 (금) |
올해의 경우 09월, 10월, 12월 시험을 남겨두고
있는 상태입니다.
응시료의 경우 70,000원이며
회계관리 2급 합격 후 회계관리 1급을 응시하면
응시료가 50,000원에서 35,000원으로 할인되고
회계관리 1급 합격 후 재무관리사를 응시하면
응시료가 70,000원에서 50,000원으로 할인됩니다.
또한 구직자, 기초생활수급자, 탈북자의 경우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50,000원으로 할인됩니다.
시험시간은 150분, 3과목 동시 진행되며
14:00 ~ 16:30분에 시험이 치러집니다.
재경관리사 시험 장소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인천,
대전, 수원, 청주, 천안 등
2025년 재경관리사 시험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접수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니 시기는 알고 계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재경관리사 시험과목
재경관리사 시험은 재무회계, 세무회계, 원가관리회계
총 3 과목으로 평가가 진행됩니다.
과목당 40문항에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시험이 치러집니다.
합격 커트라인의 경우 각 과목당 70점이며
한 과목이라도 70점이 넘지 못한다면 불합격됩니다.
재경관리사 각 과목별 세부과목
재무회계 | 세무회계 | 원가관리회계 | |||
재무회계 일반 |
재무보고와 국제회계기준 |
세법의 이해 | 세법에 대한 일반적 이해 |
원가회계의 기초 |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
재무회계 개념체계 | 국세기본법 | 국세기본법에 대한 이해 |
원가회계의 흐름 | ||
재무제표표시 | 법인세 | 총설 | 원가배분 | ||
기타공시 | 각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 계산방법 |
개별원가계산 | ||
재무상태표 | 자산 | 과세표준과 세액의 계산 |
종합원가계산 | ||
부채 | 소득세 | 종합소득세의 계산 | 원가측정 방법 |
표준원가계산의 기초 | |
자본 | 퇴직소득세 | 표준원가계산과 차이분석 | |||
포괄손익 계산서 |
수익 | 원천징수 | 원가계산의 범위 |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 |
|
비용 | 양도소득세 | 계획과 통제 | 원가·조업도·이익분석 | ||
기타사항 | 부가가치세 | 부가가치세 개념 | 기업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원가관리시스템 |
||
특수회계 | 관계기업 | 부가가치세의 계산 |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 보의 활용 |
단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
환율변동효과 | 장기의사결정을 위한 원가정보의 활용 |
||||
파생상품회계 | 성과평가 | 책임회계제도와 성과평가 |
|||
리스회계 | 분권화와 성과평가 | ||||
현금흐름표 | 경제적부가가치(EVA) 분석과 성과평가 |
재경관리사 합격률 및 난이도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이후부터 매년
난이도가 상승 중에 있다고 합니다.
공기업에서는 재경관리사를 취득했을 시
가산점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아지다 보니
수요가 늘어나서 난이도를 어렵게 출제한다고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시험의 난이도는 시간 대비 문제량이
많아서 더 어렵게 느낀다고 합니다.
문제은행식으로 출제가 된다고 하며
삼일회계법인에서 시험과 관련하여 강의와 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경관리사 최근 5년 합격률을 살펴보면
2023년 26.78%
2022년 23.91%
2021년 32.14%
2020년 37.39%
2019년 39.51%
합격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무, 회계와 관련한 자격들의 전체적인 난이도를 놓고 본다면
전산회계 2급 < 전산회계 1급 < 재경관리사 순이며
관련 자격과 동급인 자격은 전산세무 1급, 기업회계 1급,
IFRS관리사, 세무회계 1급, TAT 1급이고
더 상위 자격으로는 공인 회계사, 세무사, AICPA(미국회계사),
CMA(공인관리회계사) 등이 있습니다.
재경관리사와 전산세무 1급 차이점
세법 분야에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기업 회계 쪽의 분야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전산세무의 경우 일반기업회계기준이지만
재경관리사의 경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비슷하지만 다른 느낌입니다.
또한 전산세무의 경우 실무를 중점으로 다룬다고 하면
재경관리사의 경우 이론 중심으로 난이도 및
과목마다 깊이가 차이가 있습니다.
간혹 같이 준비를 하기 위해
재경관리사와 전산세무 1급을 같은 책으로
공부해도 되는지에 대해서 궁금증이
많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각각의 책을 구매하여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재경관리사 취업 및 전망
재경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취업 할 수 있는
분야로는 회계사무소, 회계법인, 세무법인, 기업 회계팀,
공기업, 금융기관, 정부기관 등이 있으며
재무관리사 자격이 있다면 가산점을 받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개인적으로 재경관리사의 전망은 좋아 보입니다.
또한 자격증 취득 시 학점은행제 학점인정(14학점)도
가능하여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위를 취득 시 도움이 됩니다.
재경관리사와 관련하여 응시자격,
시험일정, 장소, 과목, 난이도, 합격률 등
자세하게 살펴봤습니다.
취득하시기 전 정보 확인하시고 좋은 결과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